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 입문

십신, 일간과의 관계를 음양오행 활용

by 樂天知命 2024. 12. 28.

안녕하세요. 사주명리를 논리적으로 해설하고자 하는 "사주명리해례"의 낙천지명입니다.
오늘은 십신(十神)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십신, 일간이 갑목인 경우
[십신의 예]

 

1. 사주 해석, 일간을 기준으로 관계성 설정

[사주 원국 예시]

시주 일주 월주 연주

 

1) 일간과 나머지 간지의 오행 상생상극 관계를 분석

무토 → 임수: 토극수 - 무토가 임수를 극함

무토 → 술토: 토=토 - 무토와 술토가 같음

무토 → 자수: 토극수 - 무토가 자수를 극함

무토 → 인목: 목극토 -  무토가 인목에 극을 당함

무토 → 진토: 토=토 - 무토와 진토가 같음

 

2) 일간과 나머지 간지의 음양오행 상생상극 관계를 분석

무토(+) → 임수(+) : 토극수 - 같은 음양을 극함

무토(+) → 술토(+) : 토=토 - 같은 음양, 같은 오행

무토(+) → 자수(-): 토극수 - 다른 음양을 극함

무토(+) → 인목 (+) : 목극토 -  같은 음양에 극을 당함

무토(+) → 진토(+) : 토=토 - 같은 음양, 같은 오행

 

2. 일간과의 관계, 음양오행의 활용

[일간이 갑목인 경우]

일간
오행
나머지 간지
오행
관계 명칭 나머지 간지
음양오행
음양 십신 명칭
갑목 일간과 같음 비겁
(比劫)
갑목, 인목 같음 비견(比肩)
을목, 묘목 다름 겁재(劫財)
일간이 생함 식상
(食傷)
병화, 사화 같음 식신(食神)
정화, 오화 다름 상관(傷官)
일간이 극함 재성
(財星)
무토, 진토, 술토 같음 편재(偏財)
기토, 미토, 축토 다름 정재(正財)
일간을 극함 관성
(官星)
경금, 신(申)금 같음 편관(偏官)
신(辛)금, 유금 다름 정관(正官)
일간을 생함 인성
(印星)
임수, 해수 같음 편인(偏印)
계수, 자수 다름 정인(正印)

 

3. 십신, 사주명리의 확장

일간이라는 기준이 생기고, 그 기준을 중심으로 관계들이 곧 우리가 타고 태어난 기운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사주명리는 무한 확장, 응용, 유추의 가능성이 생겼습니다.

기존에 사주에 목과 화가 있다는 정보로는 '목생화 = 나무가 불을 생한다. 불이 나무에 의해 탄다' 정도밖에 유추할 수 없었다면, 이제는 목이 일간이 되어 사주의 중심이 된다면 이 사주는 나무로써 불을 불러일으키는 사주로 '다른 기운울 뿜어내는 사주로 활동력이 강하고 집에 가만히 있지 않고, 표현력도 강하고 근심을 마음속에 담아두지 않는다. 봄이 여름으로 향해가듯 활발하고 생가기 넘쳐 생산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다. 창의력, 도전정신이 강하고 예술 계통에서 활약하고 구속받는 것을 견디지 못한다.' 등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우리의 삶과 대입하고 유추하여 각양각색의 현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결국 우리는 어떻게든 주변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갈 수밖에 없으므로, 관계를 통해 본질을 포착한 십신의 방법론은 우리의 삶에 도움을 주는 최고의 도구가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낙천지명의 小考

  오행을 활용한 5개 또는 음양오행을 활용한 10개의 기운으로 일간과의 관계성을 규정할 수 있는데, '부, 모, 형, 제, 처, 자'로 육친(六親), '식신, 상관, 재성, 정관, 편관, 인성'으로 육신(六神), 10개의 별로 십성(十星), 10개의 신으로 십신(十神) 등 여러 가지 이름이 함께 쓰이고 있습니다. 이는 고전에서부터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이상으로 현묘의 사주명리 입문 5기 강의를 바탕으로, 십신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비견에 관한 내용을 포스팅할 예정이니, 사주명리의 기초 과정부터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제 블로그를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모두들 행복한 삶을 찾아갈 수 있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