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 고급

사주풀이 사례연구, 중심기운이 비겁

by 樂天知命 2025. 6. 10.

안녕하세요. 사주명리를 논리적으로 해설하고자 하는 "사주명리해례"의 낙천지명입니다.

오늘은 중심기운이 비겁인 사주 풀이 사례를 통해 현묘의 관법을 익히는 과정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수업에서 사용되었던 사주 명식과 사연 등을 자세히 설명할 수 없기에, 강의 중 살펴본 사례들의 공통점이나 풀이의 포인트를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중심기운이 비겁인 경우
중심기운이 비겁인 경우

 

1. 사주 풀이 순서

STEP 1 일간확인(본질),
일월지 확인(터전),
T존 확인(성향, 직업),
강한 오행 확인,
밸런스 확인,
용신 확인,
기신 확인
STEP 2 오행의 흐름 확인,
외로운 간지 확인,
용신과 기신의 상황 확인
STEP 3 대운 확인: GOOD & BAD
STEP 4 사주와 (지내온) 삶 
STEP 5 고민 상담과 조언

 

2. 중심기운이 비겁인 경우

중심기운은 일간과 중심 오행의 관계로 삶에서 현실적, 실체적, 기능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입니다.

일간의 힘을 물통이라 한다면 비겁은 물통이 하나 더 있는 것과 같아, 비겁이 많다는 것은 물통이 많아 물이 넘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겁은 어떻게든 채우려는 기운으로 재성은 빼내려고 하는 기운이므로 일간의 주변에 재성의 기운이 있다면 균형 잡힌 사주가 됩니다.

2025.01.14 - [사주명리 중급] - 비겁이 많은 사주, 재성의 기운으로 균형

 

비겁이 많은 사주, 재성의 기운으로 균형

안녕하세요. 사주명리를 논리적으로 해설하고자 하는 "사주명리해례"의 낙천지명입니다.오늘은 비겁이 많은 사주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비겁과다, 천상천하 유아독존비겁이 많다

saju-meongri.tistory.com

 

특히 중심기운이 비겁인 경우, 친구와 동료, 형제자매 등 힘든 과정을 같이 이겨낼 수 있는 사람을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혼자서 할 수 있는 체력단련 위주의 운동을 함으로써 신체적이나 정신적인 강인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일관성을 유지하며, 실제 현장에서 여러 사람이 협력할 수 있는 함께 일하는 것이나 이론보다는 경험을 많이 쌓는 것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사례로 보는 현묘의 관법

1) 용신의 위치를 확인해야 함: T zone에 있는지, 원국에 있는지, 원국에 없는지

2) 용신의 상황을 확인해야 함: 용신은 약한 기운으로 기신 옆에 있으면 짜증 남

3) 대운에서 용신 대운을 만난 경우 좋은데, 더구나 간여지동으로 온다면 더욱 좋음

4) 용신이 지지에 있다면 기신이 지지로 올 때 더욱 좋지 않음: 천간은 천간에, 지지는 지지에 큰 영향을 미침

5) 희용기구한을 공식으로 외우면 안 됨: 사주원국의 목소리를 들어보아야 함 (예: 한신이 원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 대운이나 세운에서 희신이 올 때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

6) 음간 편재는 정재처럼 이용: 음간은 재성을 물욕으로 다루기보다 사회적 활동력(봉사심)으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음

7) 우리가 알 수 없는 것은 이야기하지 않음: 모르는 것은 모르겠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함

8) 음양이 다르면 완전한 극을 당하지 않음

9) 변화는 용신운보다 기신운에서 더 활발함

10) 대운이 좋다는 말은 사주원국의 치우침을 대운에서 보완함을 의미

11) 비겁과다인 경우 재성(용신)운이 왔을 때 좋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사주원국의 기신이 너무 강해 용신이 부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군겁정재): 원국에 기신이 즐비할 때, 운에서 용신이 덩그러니 혼자 와서는 안 됨

12) 용신이 무력하다고 해서 용신이 바뀌는 것은 아님, 용신이 제 역할을 하기 어렵다면 한신 기운의 활용을 추천

13) 비겁이 많은 사주에서 관성의 중요성(밸런스와 용신의 관점): 관을 쓰면 길함 → 하지만 쓰기가 쉽지 않음, 많은 옹고집(주체성)이 튕겨냄

14) 겁재와 정재가 동주하면 겁재가 정재를 극함으로써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고, 억울한 일이 많이 발생

15) 겁재가 많으면 침탈이 그만큼 많이 발생

 

낙천지명의 小考

  현묘 이론의 특징은 논리적 일관성과 적용의 타당성을 바탕으로 사주팔자를 풀어가며 인간의 삶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많은 변수로 인해 쉽지 않지만 현묘 이론을 바탕으로 상수의 해석으로 삶의 준비와 이를 대하는 태도 등에 관한 조언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현묘의 관법을 이용하는 사주상담가로서의 자세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상으로 현묘의 사주명리 고급 5기 강의를 바탕으로, 중심기운이 비겁인 사주 풀이 사례를 통해 현묘의 관법을 익히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중심기운이 인성인 사주 풀이 사례 관한 내용을 포스팅할 예정이니, 사주명리의 기초 과정부터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제 블로그를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모두들 행복한 삶을 찾아갈 수 있길 기원합니다.